북극의 왕 북극곰

 오늘은 아주 특별하고 용감한 동물인 북극곰에 대해서 이야기 드리겠습니다. 북극곰은 "북극의 왕"이라고 불립니다. 북극의 왕 북극곰은 하얀 눈과 얼음으로 뒤덮여 있는 북극을 상징하는 동물입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징적인 동물이기도 하지요. 이 글을 통해서 북극곰에 대해 알고, 북극곰과 기후, 그리고 북극곰을 지키는데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한번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얀 북극곰


북극곰을 소개합니다.

북극곰의 서식지-환북극

북극곰의 서식지는 지구의 가장 북쪽인 북극입니다. 차가운 얼음과 눈으로 가득한 "환북극"지역이지요. 환북극지역은 캐나다, 알래스카, 러시아, 노르웨이, 그린란드 등의 나라에 걸쳐져 있습니다. 북극곰 서식지의 핵심은 바다얼음입니다. 북극곰에게 바다얼음은 사냥하고, 짝을 만나는 아주 중요한 터전이지요. 하지만 바다얼음의 환경변화는 모든 북극곰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 바다얼음의 환경변화는 한나라의 문제가 아니고 모든 나라의 문제입니다. 그러니 북극곰을 지키기 위해 모든나라가 노력해야 합니다.

북극곰의 크기

북극곰은 아주 거대한 몸을 가지고 있습니다. 육지에 사는 육식동물중에서도 아주 큰 편에 속하지요. 숫컷 북극곰은 몸무게가 410~720킬로그램까지 나가고, 키는 2.5미터나 됩니다. 작은 자동차 크기와 비슷하죠. 발만 보아도 저녁식사용 접시만큼 큽니다. 이 큰 발은 눈이나 얇은 얼음 위를 걸을 때 발이 빠지지 않도록 하지요. 북극곰은 몸이 크기 때문에 음식도 많이 먹습니다. 오히려 큰 몸집은 먹이가 줄어들었을때 생존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북극곰의 털은 하얀색?

북극곰 하면 새하얀 털이 생각나시죠? 그런데 사실 북극곰의 털은 투명하고 속이 비어있습니다. 빛이 털에 부딪혀 흩어 지면서 우리가 볼때는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 하얗게 보이는 털은 눈과 얼음에서 몸을 숨겨주는 엄청난 위장술 입니다. 먹잇감인 물범등에게 몰래 다가가는 것을 도와줍니다. 그 털 아래의 피부는 검정색입니다. 검정색 피부는 햇빛을 흡수해서 추운 북극에서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을 도와줍니다.

북극곰의 하루

북금곰은 고기를 좋아하는 육식동물입니다. 지방이 풍부한 물범 특히나 고리무늬물범을 좋아합니다. 지방은 추위를 이겨내고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물범이 숨을 쉬기 위해서 얼음 구멍으로 올라오기를 가만히 기다립니다. 몇시간을 기다리기도 합니다. 북극곰은 뛰어난 후각을 가지고 있을 숨구멍을 찾아냅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사냥 성공률은 높지 않습니다. 열 번 시도하면 한두 번 정도 성공한다고 합니다. 바다얼음이 녹는 여름에는 물범의 사냥이 어려워 땅 위에서 식물이나 작은 동물을 먹기도 합니다.

숫컷 북극곰은 큰 몸집을 이용해서 물범이나 벨루가 같은 큰 먹잇감을 사냥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어린 숫컷들은 사냥에 능숙하지 않아 배고픔을 견뎌내야 하기도 합니다. 모든 북극곰에 사냥은 힘들고 중요한 일입니다.

대부분의 북극곰은 혼자 지내는 것을 좋아합니다. 하지만, 엄마와 아기 사이에는 아주 끈끈한 관계를 볼수 있지요. 짝짓기 시기에 만나거나, 아주 큰 먹이가 있을 때 여럿이 모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로 혼자서 북극을 누비고 다닙니다. 요즘은 먹이를 찾기 힘들어져서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까지 내려와 쓰레기장을 뒤지거나 하는 안타까운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새끼 북극곰

하얀 새끼 북극곰은 생각만해도 너무 귀엽죠? 북극곰은 번식률이 낮은 동물입니다. 가을에 엄마 북극곰은 눈속에 물을 파고 들어갑니다. 그리고 겨울동안에 아기를 낳습니다. 새끼 북극곰은 아주 작고 연약하게 태어나서, 엄마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고 젖을 먹으며 자랍니다. 봄이 되어서 굴 밖으로 나올때가 되면 꽤 튼튼해지죠. 새끼 북극곰은 약 2년반 동안 엄마와 함께 지내며 사냥등 생존에 필요한 기술을 배웁니다. 엄마 북극곰이 충분히 먹지 못하면 새끼를 낳기가 힘들고, 낳고 난 후에도 키우기가 어려워 집니다. 기후의 변화는 북극곰의 번식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북극곰의 능력

북극곰의 수영실력

북극곰의 학명은 "Ursus mritimus' 입니다. 이는 '바다곰'이라는 뜻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북극곰은 수영을 매우 잘합니다. 앞발은 크고 물갈퀴가 살짝 있는데 이를 노를 젓는 것 처럼 활용하고 뒷다리로는 방향을 잡습니다. 시속 6마일(약 10Km)의 속도로 헤엄 칠 수 있습니다. 먹이를 찾거나 다른 얼음으로 이동할 때 100Km에 가까운 거리를 쉬지 않고 수영하기도 합니다.

추위를 이기는 방법

북극곰은 추위에 잘 견딥니다. 최대 10cm의 두꺼운 지방층(블러버)이 있어, 차가운 물 속에서도 체온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북극곰의 털은 빽빽한 속털과 긴 겉털로 이루어져 있어 영하 40도의 강추위에도 끄떡없습니다. 훌륭한 단열재 역할을 합니다.

냄새맡기

북극곰은 놀라운 후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주 멀리 30km이상 떨어진 곳의 먹이에서 나는 냄새도 맡을 수 있습니다. 또 눈 아래에 1m 깊이에 숨어있는 물범의 숨구멍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 능력으로 사냥뿐 만이 아니고 짝을 찾거나 다른 곰들과 소통도 합니다. 

녹고있는 바다얼음 위의 북극곰


북극곰의 위기와 우리가 할일

북극곰은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멸종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북극이 빠르게 더워지면서 북극곰의 집인 바다 얼음이 10년마다 13%씩 사라지고 있다고 합니다. 얼음이 없으면 북극곰은 사냥을 할 수도 없고, 짝을 만나 새끼를 낳을 수도 없습니다. 또 안전하게 쉴 곳도 줄어들어요.

바다얼음이 줄어들면 북극곰은 물범을 사냥할 기회가 줄어듭니다. 물범을 먹지 못하면 지방이 적게 쌓이고 영양실조에 걸리기도 합니다. 이렇게 되면 어미 곰이 새끼 곰을 기르기 힘든 환경이 되고, 새끼곰의 생존율은 떨어집니다. 결국에는 북극곰의 멸종위기가 더 심각해 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북극곰을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여러나라들이 모여 북극곰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약속을 하였고, 북극곰에 대해서 더욱 열심히 알아보고 있습니다. 당연히 환경을 지키는 것도 포함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슬럼프 극복, <멈추지 마, 다시 꿈부터 써봐>_책리뷰

성공적인 일상관리_12가지 인생의 법칙 중에서

인간관계 정리,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